메타버스(metaverse) 또는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다. '가상 우주'라고 번역하기도 했다. 1992년 출간한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가장 먼저 사용했다. 이는 3차원에서 실제 생활과 법적으로 인정한 활동인 직업, 금융, 학습 등이 연결된 가상 세계를 뜻한다. 가상현실, 증강현실의 상위 개념으로서 현실을 디지털 기반의 가상 세계로 확장해 가상 공간에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폭넓게 사용한다 - 위키피디아 발췌
비즈니스 측면으로 보면 플랫폼 비즈니스 이후의 단계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실감형 위주의 비즈니스로 진화할 것이며, 여기에 가장 익숙한 게이밍피케이션 기법을 도입한 것이 현재까지의 단계입니다. 차후 증강현실, 가상현실에 관련 디바이스가 더 많은 발전을 이룬다면, 모든 온라인 비즈니스에 적용될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현재 초기단계 부터 비즈니스를 도입하는 것은 분명히 열릴 새로운 시장을 먼저 개척하는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습니다.
제페토는 네이버에서 운영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메타버스 플랫폼이라 하지만, Low poly 3d게임 환경에 아바타들을 나열한 것에 불과 합니다. 수익구조는 캐릭터의 의상을 만들거나 악세사리를 만들어 판매하는 방식이 주요이며, Low poly의 심한 제약아래에 그나마도 현실성 있는 아이템 제작 역시 아직까지 불가능합니다. 또한 메타버스를 표방함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컨텐츠에만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자체 정도가 축제현장을 재현해 놓은 정도가 지금까지 모델의 전부라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쇼핑몰의 상품을 판매하는것 조차 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것은 네이버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쇼핑관련 플랫폼과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에 아직까지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보입니다.
로블록스 역시 개념적으로는 메타버스에 분류되기는 하지만 로블록스는 현실적으로 게임 플랫폼에 더 가깝다고 볼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로블록스내에서 게임을 만들어서 이용자들이 게임을 즐길수 있게 하고, 이용자들은 이렇게 만들어진 다양한 게임들을 즐길수 있는 형태로 로블록스 내에서 사용되는 재화 로벅스를 충전하고 사용하면, 개발자와 수익이 분배되는 시스템입니다. 분야는 다르지만 유튜브 크리에이터와 비슷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유튜브를 플랫폼이라고 하지만 메타버스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로블록스는 메타버스 보다는 게임전문 플랫폼에 가깝다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메타버스를 개발해 드리고 있으며, 별도로 운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당사는 메타버스를 비즈니스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증강현실등의 실감형 컨텐츠를 탑재한 비즈니스 모델로, 온라인/오프라인을 모두 아우를수 있어야 사전적 의미의 META를 충족하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라도 접근할수 있어야 생태계 이상의 UNIVERSE를 만들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사에서 만든 데모에서도 볼수 있듯이, 전시회를 통한 비즈니스가 좋은 예가 될수 있습니다. 서울 코엑스, 일산 킨텍스등 전국에 있는 각 컨벤션 센터에서는 매년 수많은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 전시회는 성격에 따라서는 B2C판매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B2B상담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아직까지 메타버스 비즈니스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인 시점에서 가장 도입하기 쉽고 성과를 낼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가상공간을 배경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배경, 구조물, 캐릭터등 모두 3D 모델이 필요합니다. 현실처럼 보이기 원하는 경우, 동화처럼 보이기 원하는 경우, 판타지 처럼 보이기 원하는 경우 각각 요구사항이 다를수 있지만 모두 3D가 필요합니다. 당사에서도 3D모델을 일부 제작할수 있고, 많은 3D 오브젝트를 자체 보유 하고 있지만 부족한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당사는 개발업체로서 비즈니스 로직구현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중점은 둔 개발업체로서 3D전문업체 만큼의 리소스를 가지고 있지는 못합니다. 최대한 맞춰서 3D를 제작하거나 기존 오브젝트를 활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3D 전문 업체를 통한 구현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구글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모두 등록이 가능합니다. 다만 재화를 판매할 경우 수수료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완전한 디지털 상품이라면 문제가 없겠으나, 상대적으로 마진율이 낮은 오프라인 상품을 쇼핑몰이 아닌 메타버스에서 판매하게 될 경우 이것이 인정되는지의 여부는 구글, 애플의 결정이 달려 있게 됩니다. 만일 오프라인 상품 판매가 아니거나, 무료로 운영하거나 수수료에 있어서 자유로운 경우라면 앱스토어에 등록이 가능합니다. 즉,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비즈니스 모델이 적합한지의 문제라 볼수 있습니다.
현재 보실수 있는 데모는 키보드와 마우스로 작동이 됩니다. 모바일로 개발 될때에는 일반적인 게임과 마찬가지로 화면상에 가상의 조이스틱이 지원됩니다.